[ GMB_5_D1_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

2021. 9. 27. 18:05강의 후기/그로스 마케팅 부트캠프 [GMB]

728x90

1. 자기 객관화

https://www.youtube.com/watch?v=9vjJC7TwA3Y 

: 공자님 말씀 중에,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앎'이다.

 

이 말씀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메타인지'라고 생각한다. 

 

"즉, 우리가 아는 것을 안다고 하는 것'

 

그럴 때야말로, 

 

불치하문

不恥下問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두려워 하지 않을 수 있다.

 

https://brunch.co.kr/@withinsight/15

 

[명언 뜯어보기] 11회 아는것을 안다고 하는 것

공자 | [오늘의 명언]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是知也(지지위지지부지위부지시지야)아는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아는 것이다. 공자1.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brunch.co.kr

 

이는 특히 마케터에게 중요한데, 현재 코로나로 인해 그리고 기술과 특히 AI의 발전으로 인해 엄청난 데이터가 쌓이는 동시에 그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이 중요한 시점이다.

 

그런데, 내가 지금 GA4를 배웠다고 해서, 내가 지금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할 줄 안다고 해서, 내일도 혹은 지금 그리고 나중에 이직할 회사에서도 이걸 쓴다고 할 수 있을까? 그리고, 지금 내가 갖고 있는 데이터와 내가 아는 트렌드가 내일도 모레도 그리고 1주일 후에도 똑같을까?

 

이런 질문들을 던지다 보면 마케터들은 '흠칫!' 할 수도 있다. 소비자들의 마음을 함부로 알고 행동했다가는 정말 해고당할 큰 잘못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0B0Y6B4nJE 

 

이와 비슷한 좋은 예시로, 버츄얼 인간이 있다. 현재 한국에서는 신한 라이프의 로지가 있다. 지금이야 'Hot'한 트렌드로 떠버려서 너도 나도 '로지를 얘기하고 있지만,

 

이렇게 뜨기 전에는 제발 무료로 광고에 한번 써달라고 읍소할 정도로 광고업계는 버츄얼 마케팅을 거부했었다. 즉, '잘 모르는 새로운 것'에 대해서 기존의 입장과 지식을 가지고 '이게 되겠어? 하... 겨우 이 정도야?'라는 잘못된 판단을 해버린 것이다. \

 

지금은 로지로 인해 한달 매출이 10억을 넘을 정도로 광고계 트렌드가 됐지만, 로지를 거절한 사람들은 '머리를 한 대 딱! 맞은 심정으로' 로지의 성공을 지켜보고 있을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uQGQTIvaXas 

 

https://trendsafari.co.kr/all/08/%EA%B4%91%EA%B3%A0%EA%B3%84%EB%A5%BC-%ED%9C%A9%EC%93%B8%EA%B3%A0-%EC%9E%88%EB%8A%94-%EB%A1%9C%EC%A7%80-%EA%B7%B8%EB%85%80%EB%A5%BC-%EC%95%8C%EA%B3%A0-%EA%B3%84%EC%8B%A0%EA%B0%80%EC%9A%94/

 

광고계를 휩쓸고 있는 ‘로지’, 그녀를 알고 계신가요?

5G 기술의 발달과 팬데믹 영향으로 '메타버스'가 각광 받고 있는 요즘. AI와 아바타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버추얼 …

trendsafari.co.kr

결국 늘 새로운 걸 접하고 늘 새로운 걸 익히며, 늘 새로운 소비자들의 반응을 확인해야 하는 마케터들은 항상 '메타인지'를 염두해 둬야 한다.

 

한문학을 전공한 내 입장에서는 공자님 말씀인 지지위지지 '아는 것을 안다고 해라'와 불치하문 '아랫 사람에게 묻는 것을 수치스러워 하지 마라'가 훨씬 익숙하지만 말이다. 

 

https://knou1.tistory.com/2568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알자! "메타인지 학습법"

새로운 학기가 시작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시험 기간이 다가왔습니다. 여러분들 모두 열공하고 계신가요?? 공부를 하다 보면 오래 앉아서 책을 계속 본 것 같은데도, 잘 외워지

knou1.tistory.com

 

그리고 이렇게 '메타인지'를 확실히 각인 시켜 둬야 '완벽함' '완벽주의'에 빠져 오히려 황당한 결론과 쓸모없는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황당무계한 짓을 안할 것이다.

 

전에 있었던 회사에서는 '완벽하게 예쁘고 깔끔한 이미지'를 위해 모든 자원과 인력을 동원하느라 오히려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상품 소싱에서는 소흘한 면을 보여줬고, 그 결과 쇼핑몰은 대 실패를 해버렸다. 마케팅 비용만 쓰고 말이다. 

 

2. 온라인 학습 환경 조성 - 온라인 공부 집중 안되는데요..?

 

신체가 곧 마음이다. 잘 생각해봐라... 너가 사랑하고 관심 가는 사람한테 자세가 어떻냐? 앞으로 다가가고 좀 더 가까이 있고 싶지? 그럼 게임할 때 어때? 네가 모니터 뚫을 것처럼 쳐다보는거 알아?

 

........... 그런데, 공부할 때는 어때?

 

자꾸 딴짓하고, 자꾸 딴거 보고 핸드폰 한번 보고 그러지?

 

그럼 네가 집중하려면 어떻게 할거야?

 

https://www.youtube.com/watch?v=oWriGCIgOmk 

: 저는 게임을 하다가도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해야될 때는 3, 4분이라도 잠시 밖에 나갔다 와요. 그래서 마치 학교에 온 것처럼 문을 열고 들어가고, 태그를 찍기도 하죠. 재미있게 긍정적으로 뇌를 착각하게 만드는 거죠.

 

그리고 제 김경일님이 아닌 제 개인적인 추천으로 학습법에 관한 책을 소개해드립니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90991836 

 

아인슈타인 두뇌 훔치기 - 교보문고

상위 0.1%, 두뇌 천재가 되는 비밀!“누구나 두뇌 천재가 될 수 있다.” 이 말도 안 되는 명제가 사실인가? 물론이다. 이 책은 누구나 두뇌 천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아이들의 학습 성취

www.kyobobook.co.kr

'아인슈타인 두뇌 훔치기' 입니다. 학습 전에 향기로운 향수 냄세를 맡는 다던가, 정해진 곳에서 정해진 시간에 학습을 한다는 등 '일정한 습관'을 형성하는 거죠.

 

3. 몰입

- 황농문 교수님의 '몰입'입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chosun_edu&logNo=221589035565 

 

여름방학 학습 캠프ㅣ서울대 황농문 교수의 <몰입 캠프>

새 학기를 맞이하는 3월의 설렘이 지나고 눈 깜짝할 새 지나간 1학기, 다들 어떻게 보내셨나요? 여러 학원...

blog.naver.com

 

여기 캠프에서는 학생들을 캠프에 숙박시키면서 운동 -> 공부의 루틴을 반복시킵니다. 그리고 졸리면 자게 합니다. 운동을 통해 건강해지고, 뇌도 쌩쌩하게 돌아가고, 그 상태에서 '공부'만 시킴으로써 미친듯한 몰입을 보이죠. 그리고 피곤하면 그냥 자기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다고 게임 등 딴 짓을 할 수가 없죠.

 

저때는 별명으로 '제주도 청년'이라고 부른 친구가 있습니다. 중학생이었고 수학 문제 5개를 주면 1, 2개를 풀던 친구였는데 몰입캠프 2번째 참여 때는 10문제 중에 9문제를 맞추더라구요.

 

https://www.youtube.com/watch?v=ukjYwSiYT1I 

 

몰입하세요. 하루에 몇시간이든 쏟아부어서 그 일에만 집중해보세요. 분명 달라질 겁니다. 

 

4. 작은 성취

- 9시 출근인데, 9시에 일어나고, 

- 일어나서 이불도 안개고 

- 집에서는 청소가 안되서 바퀴벌레나 나오고,

- 그런 기분으로 당신은 뭘 할 수 있죠?

 

https://www.youtube.com/watch?v=whFZCmN__mM 

 

- 세상을 바꾸고 싶으면, 너부터 바꾸세요

- 그리고 세상이 X같아요? 그럼 너도 X같이 버티세요. 절대, 포기하지 말고, X같은 사람들이 먼지처럼 보이도록 스스로 위대한 사람이 되세요. 명심하세요. 포기하는 그 순간이 가장 X같은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