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중간점건인데... 왜 이리 중간고사 같죠?ㅎ

2021. 11. 1. 12:13강의 후기/그로스 마케팅 부트캠프 [GMB]

728x90

| 마케터의 기초

  1. 마케팅은 무엇인가요?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 마케팅은 소비자들이 물건과 서비스 구매를 하게끔 만드는 모든 행위입니다. 디지털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유입'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브랜드 팬덤'입니다.
  1. 마케팅을 할 때 가장 중점/중심적으로 바라봐야할 핵심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시장의 니즈, 현실성, 예산, 실험 입니다. 시장이 구매할 것을 마케팅해야 하고, 예산 등의 이유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걸 시도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KPI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1. 퍼널을 정의하세요. 그리고 코드스테이츠 서비스를 예시로 하여 퍼널을 그려주세요.

https://miro.com/app/board/o9J_ltpqT6I=/?invite_link_id=289050562415

  1. 마케팅 비즈니스 구조에 대해 작성하세요.
  • Swot을 통해 어떤 시장에서 들어갈지를 파악하고, 4p

| 마케팅 전략 기획

  1. 서비스 기획할 때 작성했던 항목들을 작성하세요.
  • 페르소나, 사용자 여정지도, SWOT분석, 서비스 운영 방식(언제, 어떤 방식으로 제공할지)

| 마케터의 업무

  1. 마케터는 어떤 일을 하나요?
  • 콘텐츠를 제작해서 소비자들에게 왜 이 서비스를 이용해야하는지 이유를 제공하고,
  • 광고를 통해서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를 알게끔 만들고,
  • 브랜드를 통해서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에 팬이 되도록 하며
  • 그로스 방법론을 통해 소비자들이 이 서비스의 필요성을 느끼고 남아있도록 끊임없이 개선하는 일
  1. 어떤 마케터가 되어야 하나요?
  • 계속 새로운 걸 찾고, 계속 기존의 걸 개선하며,
  • '내가 알고 있는 것'보다는
  • '지금 시장에서 통하는 것'을 찾아서 익히고 적용하는 마케터
  1. 마케팅 업무 싸이클을 그려주세요. (마케터의 하루, 일주일, 한달 간의 업무 루트를 상상하며, 마케터의 업무에 대해 아는대로 그리고 예상하여 작성해주세요.)

<일일>

  • 출근 후 메일 확인
  • 업무 정리 (마무리 한 일, 지금 하고 있는 일, 1주일 혹은 1달 내로 완료해야하는 일)
  • 컨택 (섭외, 계약, 광고 집행, 외부 업체 등)
  • 본인 업무 시작 - 점심 - 본인 업무 재시작
  • 퇴근 1시간 전 오늘 업무 마무리 (오늘 마무리 했어야 하는데 못한 일, 내일 아침부터 시작해야 하는 일, 이번주 내로 마무리 해야하는 일 재정리)
  • 업무 자료 정리 - 퇴근

<일주일>

  • 주간 시작 : 진행중인 테스트 혹은 업무 정리
  • 주간 회의 : 진행 상황 보고 및 '불가능', '자원 추가 투입 필요', '순항중'으로 나눠서 업무 보고
  • 주간 마물 : '불가능' 및 '순항중' 업무 자료 정리하고, '자원 추가 투입 필요'와 '신규 업무'에 대해 업무 스케쥴 정리 및 필요 자원 확인

<한달>

  • 목표 확인 : 한 달 내로 이루어야 하는 목표 확인 (계약, 상사 지시 등 파악)
  • 자원 확인 : 목표를 이루기 위한 준비사항 체크 및 미달 시 상사에게 보고
  • 업무 진행 : <일일> <주간>에 맞게 업무 진행
  • 업무 체크 : <주간> 별로 업무 진행 체크하고 회의 때 보고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1. 마케터와 협업해야할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 컨텐츠 관련 : 영상 편집자, PD, 작가(웹툰, 도서 등), 촬영감독, MCN(섭외), 에이전시(섭외)
  • 광고 제작 관련 : 디자이너(일러스트, 포토샵 사용하여 배너 광고 만드시는 분), PD, 영상편집자, 작가(카피라이팅 담당), AE(광고 총책임자), CD(광고 제작 담당)
  • 데이터 관련 :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관리자 등
  1. 각 동료들과 협업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 능력, 스킬 등의 요소는 무엇인가요? <개념>
  • 마케팅 101 : 4p, Swot등 마케팅이 발전하면서 추가된 산업 분석 뿐만 아니라, 개인화 마케팅, SNS, 각종 트렌드 등에 관한 개념 이해 <능력 및 스킬>
  • 카피라이팅, 디자인 등 '크리에이티브' 능력 (적어도 어떤 배너광고를 만들지 디자이너에게 그 개념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어떤 카피를 넣을지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 포토샵, 일러스트, Premier 등 Adobe 툴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
  • 촬영 도구 (카메라의 기본 3요소 - ISO, 조리개, 노출, 셔터스피드) 작동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
  • GA4, GA, GTM, Firebase, 페북 비즈니스 관리자 등 자신이 속한 회사에서 마케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툴에 관한 전문적인 이해

| 그로스 해킹

  1. 그로스 해킹은 무엇인가요? 그로스 해킹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실험과 방법론
  • 마인드 셋 : 모든 걸 완벽하게(X),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들을 빠르게 실험을 통해 검증(O)
  1. 그로스 해킹 싸이클에 대해 작성하세요.
    1. 우리는 그로스 해킹 싸이클 중 어디에 위치해 있나요?
    • 현재 개발(제작)/배포 단계입니다.
    1. 그로스 해킹 싸이클은 어떠한 마케팅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나요?
    • Lean Startup ~ MVP

| 디지털 마케팅

  1. 디지털 마케팅은 무엇인가요? 디지털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 트렌드, 트렌드, 트렌드
  1. 여러분은 갓 창업한 회사의 마케터입니다. 랜딩페이지 세팅부터 페이스북 광고 세팅까지 혼자서 진행해야합니다.
    1. 무엇을 해야할까요? (우리가 배운 마케팅 테크 개념들을 업무 순서에 따라 모두 나열하세요.)
    • 회사 페이스북 계정이 있는지 체크
    • 없다면 내 계정 개설 후 페이지 개설하고, 페이스북 피드 채우기 (회사 업무 관련 피드)
    • 회사 브랜드 체크 (광고 기획 전)
    • 랜딩 페이지 기획 회사 브랜드 색 및 슬로건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잘 보이도록
    • GA와 GTM 연결 후
    • 랜딩페이지에 GTM 세팅
    • 랜딩페이지에 페이스북 픽셀 세팅
    • 도메인 구매 후 랜딩페이지 도메인 연결
    • 광고 제작
    • 최종 광고 선택 후 페이스북 광고 세팅
    1. 해당 개념들을 모두 완벽히 이해했나요? 이해하지 못한 개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랜딩페이지 제작 및 도메인 연결은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2. 디지털 마케팅을 잘 하려면 무엇을 중점적으로 바라봐야하나요?
  • 현재 트렌드, 툴 변경 사항, 페이스북 등 주요 광고 플랫폼의 정책
  1. 디지털 마케팅을 할 때 콘텐츠 마케팅과 퍼포먼스 마케팅의 중요성을 비율로 나타낸다면 몇 대 몇일까요?
  • 컨텐츠 90% / 퍼포먼스 10% (총 100%)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컨텐츠가 정말 트렌드에 딱 맞고 자체로 재미있거나 감동적이라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면, 광고를 정말 적은 돈으로 하거나 아예 하지 않아도 소비자들이 찾아오고 인별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틱톡 등등을 통해 자발적으로 홍보해주는 시대라 그렇습니다.
  1. 구글/네이버/페북/인스타/카카오 외에 마케팅 툴로 활용 가치가 높은 매체들에 대해 생각나는대로 나열해보세요.
  • 구글(검색광고, 유튜브), 인스타(피드, 스토리), 페북, 네이버, 카카오

| 1차 광고를 돌리고 난 후 마케터의 행동

  1. 회사에서 여러분들은 지금과 같이 1차 광고를 집행했습니다. 이 다음 액션은 무엇을 해야하며, 액션을 위한 플랜은 어떻게 짜야하나요?
  •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 접속
  • 데이터 엑셀 등으로 정리
  • 퍼널 별 광고의 KPI 체크
  • 성과 저조한 퍼널 분리
  • 해당 퍼널 개선 방안 제시 (회의 필요하다면 회의 진행)
  • 제시된 방법, 소재 등 체크 및 광고 재집행
  1. 원하는 전환 성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 퍼널 별 광고의 KPI 체크
  • 성과 저조한 퍼널 분리
  • 해당 퍼널 개선 방안 제시 (회의 필요하다면 회의 진행)
  • 제시된 방법, 소재 등 체크 및 광고 재집행

| 셀프 체크

  1. 어떤 마케터가 되고 싶나요? 그 마케터가 되기 위해선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구체적으로 작성해보세요.)
  • 그로스 마케터, 브랜드 마케터
  • 끊임없는 학습, 수강료, 학습 시간
  1. 마케터가 되려면 갖춰야할 습관은 무엇이며 어떤 노력을 해야하나요?
  • '내가 알고 있는 건 모두 사실이고 옳아' 보다는
  • 내가 알고 있는 걸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고, 더 좋은 게 없는지 찾고 익히는 습관
  1. 내가 생각하는 마케터의 자질 중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요?
  • 디자인 능력, 데이터 분석 능력, Java 등 프로그래밍에 관한 이해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거나 계획하고 있나요?
  • 개별적으로 자율학습 진행
  1. 요즘 읽고 있는 마케팅 관련 서적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 데이비드 아커 브랜딩 정석